파일 관련 명령어 (ls)

2023. 10. 10. 16:03리눅스

728x90
반응형

ls

디렉터리 안의 내용을 출력해 주는 명령어이다.

 

$ ls -a

숨겨진 파일이나 디렉터리도 출력해준다. '.'으로 시작하는 파일은 숨겨진 파일을 의미하는데,

이 옵션을 지정해야 확인할 수 있다. 

$ ls -F 

파일의 형태에 따라 관련 정보를 출력해준다. 실행 가능한 파일은 파일 이름 뒤에 * (asterisk)문자,

디렉터리는 이름 뒤에 './', Symbolic Link는 뒤에 '@'를 붙여서 표시해 준다.

$ ls -l

파일이나 디렉터리 정보를 한 줄씩 하나씩 길게 보여준다. 출력되는 정보는 총 7개의 필드로 구성되어있다.

-rw-ew-r--

허가권(permission) 이라 부르는 필드이다. 총 10개의 항목으로 되어 있고,

맨 앞부분은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고,

나머지9개는 소유자, 그룹, 기타 사용자들에 대한 권한이 명기되어 있다.

1

하드링크의 수를 나타내고, 디렉터리인 경우에는 해당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이동 가능한 디렉터리 개수라고 보면 된다.

posein

파일의 소유자를 의미한다.

posein

소유 그웁을 뜻한다.

28

파일의 크기를 나타내는데, Byte 단위로 표기된다.

참고로 디렉터리인 경우에는 디렉터리 정보를 저장할 때 사용한 바이트의 크기인다

2013-08-0211:39 a.txt 

파일을 생성한 시간 또는 수정한 시간을 나타낸다.

파일명을 나타낸다.

 

$ ls -d

대상이 디렉터리인 경우 디렉터리 안의 내용 대신에 해당 디엑터리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보통 '-l' 옵션과 같이 사용한다.

$ ls -r (--reverse)

파일 및  디렉터리 정보를 알파벳 역순으로 출력한다

$ ls -R (--recursive)

존재하는 하위 디렉터리별로 관련 내용을 재귀적으로 전부 출력한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관련 명령어 (tocuch, file, locate, find)  (0) 2023.10.10
파일 관련 명령어 (rm, mv)  (0) 2023.10.10
파일 관련 명령어 (cp)  (0) 2023.10.10
디렉터리 관련 명령어  (0) 2023.10.10
사용자 조회 명령어  (0) 2023.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