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마스터 2급 - 리눅스의 이해 (리눅스 디렉터리 종류와 특징)
2025. 5. 5. 22:49ㆍ리눅스
728x90
1.4 리눅스의 기술적인 특징
디렉터리(Directory)의 개요
디렉터리란 파일을 보관하는 곳입니다. 리눅스의 디렉터리는 최상위에 해당하는 루트(/)를 중심으로 하위 디렉터리에 다수의 디렉터리가 존재하는 형태의 트리 구조로 갖추어 계층적으로 관리된다.
리눅스에 존재하는 디렉터리는 리눅스 벤터(레드햇, 센트오에스 등)나 버잔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유사하다.
- / : 최상위에 있는 디렉터리로 루트(root) 디렉터리라고 한다.
- /bin : 일반적으로 bin은 binary의 약자로 실행 파일들이 들어있습니다.우리가 흔히 말하는 명령어라는 것들이 들어있는 디렉터리로 보통 PATH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명령어인 cp, mkdir, rmdir, mv, rm, cat 등이 이 디렉터리에 들어있습니다.
- /sbin : 시스템과 관련된 명령어가 들어있습니다 대부분 root사용자가 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boot : 부팅이미지 파일이나 커널 등 시스템 부팅 시 필요한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이다. 최근 리눅스 버전에서 부트 로더로 사용되는 grub 관련 파일도 이 디렉터리에 들어있습니다.
- /dev : 하드디스크, CD-ROM, 터미널 등과 같이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적인 장치 등을 파일화 하여 관리하는 디렉터리이다.
- /etc : 이 디렉터리에는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 및 부팅과 관련된 여러가지 스크립트 파일들이 들어있는 디렉터리이다.
- /home : 이 디렉터리는 각 사용자별로 파일을 생성 삭제할 수 있는 디렉터리입니다.
- /lib : 이 디렉터리는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부분을 운영체제에 저장하여 디스크를 여유있게 사용하고 RAM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위한 디렉터리이며 라이브러리 라고 부르기도 한다.
- /lost+found/ : 깨진 파일들이 들어있는 디렉터리입니다. 깨진 파일이 있을경우 저널링 파일 시스템을 통해 복구를 하고 못할경우 버려집니다.
- /mnt : /mnt는 mount 의 약자이며 장착하다라는 뜻입니다. HDD를 장착할때 HDD내용을 확인할때 사용되는 디렉터리
- /media : 마찬가지로 (USB, DVD 등)를 장착할때 USB내용을 확인할 때 사용되는 디렉터리
- /misc : 자동으로 mount해주는? 디렉터리
- /net : 네트워크로 연결할때 필요한 디렉터리
- /usr : 응용프로그램들이 위치한 디렉터리입니다.
- /proc :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process라고 부르는데 그 정보가 번호로 저장되어있습니다.
- /var: 가변적인 데이터가 들어가있습니다. 로그와 스풀(spool)(디스크일부의 데이터) <- 프린터 , /var/log 를 통한 로그 기록(로그인 기록 등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tmp : Temporary의 약어로 일시적으로 필요한 파일들이 들어있습니다. 모든사용자들이 추가 삭제 가능합니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마스터 2급 - 리눅스의 역사 (1) | 2025.05.06 |
---|---|
리눅스 마스터 2급 - 리눅스의 이해 (리눅스 등장에 영향을 준 요소와 관련 용어) (0) | 2025.05.06 |
리눅스 마스터 2급 - 리눅스의 이해 (1) | 2025.05.05 |
운영체제란? (0) | 2024.06.24 |
리눅스 명령어(경로 a/b/c/d/memo.txt 에 해당하는 파일 생성 후 a 디렉토리 제거) (1) | 2024.01.06 |